청주 도시기본계획의 지위 :
■ 상위계획(국토종합계획,도종합계획,광역도시계획등)의내용을수용하여 시군의
미래상 제시
■ 도시,군 관리계획의 지침
2개 도심, 10개 지역 중심 위계 정립
■ 역사적 상장성과 상업, 문화, 업무기능을 담당하는 중심여가지역(CRD)
- 청주시의 역사성과 문화성을 대표하는 상징적 공간 조성
- 도심부의 토지이용 효율화를 위한 재정비 활성화
- 도시재생을 통한 다양한 기능의 도심 회귀 유도
■ IT , 반도체 , 바이오 등 첨단산업 기능을 담당하는 중심업무지구(CBD)
- 오송〜옥산〜테크노폴리스〜오창〜에어폴리스를 연결하는 첨단산업 벨트축 구축
- 바이오-뷰티산업을 선도하는 중부 내륙의 K-바이오뷰티 융합클러스터 조성
- 미호천 생태개발을 통한 무심천과 미호천을 연계하는 대표 수변공원 조성
■ 기존 도심의 압축개발을 지향
■ 생활권별10개의 지역중심지를 설정
- 치우침 없이 청주시 전역이 고르게 발전할 수 있도록 10개 지역 중심의 공공서비스 지원 체계 강화
구분 | 발전축 | 내용 |
중심 발전축 | 중부내륙축 | 대전광역시~텅주시~충북혁신도시~수도권 |
첨단산업 발전축 | 오송읍〜옥산면〜오창읍〜청주국제공항~내수읍 | |
서부발전축 | 청주시 중심-오송읍〜조치원〜제2경부고속도로 | |
세종시연계 발전축 | 청주시 중심~남이면~세종특별지차시 | |
보조 발전축 | 순환발전축 | 1순환로와 2순환로 주변 |
여가발전축 | 내수읍〜미원면〜남일면 | |
휴잉에코벨트축1 | 낭성면〜미원면 | |
휴잉에코벨트축2 | 남일면-기덕면 |
청주시 상당구 생활권
청주시 서원구 생활권
청주시 흥덕구 생활권
청주시 청원구 생활권
비도시지역
성장관리계획, 계획적 입지 유도 등을 통한 체계적 성장관리계획
■ 관리제도의 기능 및 행정의 전문성 강화
- 조례 개정 및 심의제도 개선을 통한 개발행위허가 기준 강화
- 비도시지역 관리 전문성 강화
- 비도시지역 용도지역의 관리 강화
■ 토지이용의 효율성 제고
- 거점지역을 중심으로 한 압축적 개발 유도
- 계획관리지역 내 특성을 고려한 개발행위 허용용도 조정
■ 계획의 강화를 통한 비도시지역 관리
- 성장관리계획 청주시 전지역 확대 적용(주, 상, 공 제외)
- 마을권역과 권역 외 지역의 토지이용전략 구분
- 자연취락지구 지정범위 확대와 지구단위계획 수립 도입
- 난개발 발생지역 대상의 계획적 관리 추진
교통물류계획
■ 중부고속도로 확 장 : 서청주〜증평
■ 당진〜영덕 간 고속도로(동서4축) : 세종〜청주 구간 연결
■ 제2충청내륙고속화도로 조기 건설 : 증평〜무주
■ 충청내륙고속화도로 조기 건설
■ 인접지역과의 연계 강화
- 청주공항〜세종시 연결도시 신설사업 조기 착공
- 청주〜미원〜괴산〜문광 구간 확장사업 조기 착공
- 오송〜청주 우회도로 신설
■ 도시가로망 균형 개발
- 4차순환도로 (읍면 연결도로)
- 무심동로〜오창IC 도로건설공사 조기착공
- 엘지로 확장
2040 청주도시기본계획안 원문 다운로드 바로가기